'온라인 대세' 유튜브, 네이버 제치고 브랜드가치 5위

@success_young
원본 문서 보기
'온라인 대세' 유튜브, 네이버 제치고 브랜드가치 5위

한국에서 '빅5' 브랜드에 속한 유튜브가 브랜드가치 평가에서 5위에 올랐다. 이는 동영상 플랫폼이라는 특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이용자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넷플릭스도 27위에서 22계단 상승하여 49위로 올라 강세를 보였다. 넷플릭스는 콘텐츠 강화와 한국 창작물에 대한 투자로 인해 상위권 경쟁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넷플릭스와 유튜브가 국내 온라인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며 카카오톡과 네이버의 브랜드가치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카카오톡은 여전히 2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KB국민은행에 추격을 받아 수성이 불투명하다. 네이버는 유튜브에 밀려 7위로 밀려났으며, 유튜브는 단순한 영상 플랫폼을 넘어 검색 포털 역할을 하면서 네이버의 검색 시장 점유율도 하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스탁은 카카오톡과 네이버의 브랜드가치가 계속해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에 넷플릭스와 유튜브는 국내 시장의 침체를 틈타 다양한 서비스와 투자로 브랜드가치를 제고하고 있다. GS건설의 아파트 브랜드 자이가 최근에 철근 누락과 침수 사태로 인해 순위가 8계단 하락하여 36위로 내려앉았다. 반면에 경쟁 브랜드인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는 전 분기 대비 9계단 상승하여 71위를 기록하였고, 롯데캐슬도 4계단 상승하여 74위에 오르는 등 자이의 급락으로 인해 반사이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이가 독주해온 아파트 브랜드 부문은 향후 래미안을 포함한 빅4 브랜드의 순위 각축전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분기에 상승세를 보인 현대차의 주요 브랜드들은 이번 분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제네시스는 2분기에 비해 2계단 상승하여 17위로 올라갔으며, 그랜저와 쏘나타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유통 부문의 주요 브랜드들은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다. 이마트는 10위에서 밀려나 11위로 떨어졌으며, 롯데하이마트와 롯데백화점 등 롯데그룹 계열 유통 브랜드도 하락했다. 또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브랜드인 삼성 갤럭시는 938.8점을 얻어 전체 1위를 유지하였다. 또한, 크로커다일레이디, 메르세데스벤츠, 크리넥스, 서울스카이, 라네즈, 롯데슈퍼 등 6개의 브랜드가 총 100대 브랜드에 신규 진입하였다.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는 BSTI 점수가 높은 브랜드를 상위 100위까지 선정하여 발표하는 국내 유일의 브랜드 가치평가 인증제도이다. BSTI는 230여개 부문의 대표 브랜드 1천여개를 대상으로 브랜드스탁 증권거래소의 모의주식 거래를 통해 형성된 브랜드주가지수(70%)와 정기 소비자조사지수(30%)를 결합한 브랜드가치 평가모델이다. 2023년 3분기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 상위 30위를 소개합니다. 이번 순위에서는 삼성 갤럭시가 1위를 차지했고, 카카오톡이 2위를 유지했습니다. KB국민은행은 3위로 올라섰고, 신라면도 4위로 올라왔습니다. 유튜브는 5위로 상승하였고, 네이버는 7위로 하락하였습니다. 인천공항은 10위로 올라왔고, 이마트는 11위로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삼성 BESPOKE 무풍에어컨은 20위, LG 휘센은 22위로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넷플릭스는 27위로 큰 상승을 보였고, 롯데하이마트는 28위로 하락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참이슬은 30위로 하락하였습니다.

원본 문서 보기

최근 등록된 백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