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공무원 연가보상비 계산 방법 대상 금액 시기(군인, 교사) 알아보기: 성공을 향한 공무원들의 유용한 정보

2023년 공무원 연가보상비 계산 방법 대상 금액 시기(군인, 교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가보상비는 1급 이하 공무원, 고위공무원단, 12등급 이하 외무공무원 및 상당하는 공무원에게 지급되며, 군인 중 1급 이하 공무원에 해당하는 사람들도 지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연가보상비는 예산 범위 내에서 지급되며, 일부 예외 사항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지급 제외 대상입니다. 이를 통해 공무원들에게 힘이 되는 제도를 소개드렸습니다.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를 계속해서 제공할 예정이니 알림 설정과 서이추,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성공하고 싶은 남자 SuccessYoung 올림. 연가보상비 지급 대상으로는 1급 이하 공무원,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12등급 이하 외무공무원 및 상당하는 공무원, 그리고 1급 이하 공무원에 상당하는 군인이 포함됩니다. 반면, 연가보상비 지급 제외 대상으로는 교육공무원, 공중보건 의사, 병역판정 검사 전담의 사・공중방역수의사, 공익법무관, 재외 공무원, 국외파견 공무원, 연도 중 징계에 의해 파면 또는 해임된 공무원, 국가공무원법과 경찰 공무원법에 따라 직권면직된 공무원, 소방공무원법에 따라 면직된 공무원, 군 인사법에 따라 전역된 자, 그리고 국가공무원법과 경찰 공무원법에 따라 퇴직된 공무원이 포함됩니다. 연가보상비 지급액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계산되며, 6월 30일 기준이나 12월 31일 기준에 따라 지급됩니다. 1번의 경우는 모든 공무원이 받을 수 있으나 교사는 제외됩니다.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연가보상일 수가 7월에 지급받은 연가보상 일수(5일) 미만일 경우에는 연가 보상비를 환수하되, 환수금액 계산은 12월 31일을 기준으로 한 연가보상비 계산 방법을 따릅니다. 예를 들어, 7월에 5일분의 연가보상비를 지급받았지만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연가보상일 수가 3일이라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한 월 봉급액의 86% × 1 / 30 × 3일)에서 6월 30일을 기준으로 지급받은 연가보상비를 빼면 환수금액이 계산됩니다. 또한, 퇴직자에 대한 연가보상비 지급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6월 30일 이전에 퇴직하는 경우: 퇴직일 전일 현재의 월 봉급액의 86% × 1/30 × 연가보상일 수 - 7월 1일 이후 12월 31일 전에 퇴직하는 경우: 1) 6월 30일을 기준으로 한 연가보상비는 동일한 방법(연가 잔여일 수 10일 이상자에게 5일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2) 7월 1일부터 퇴직일까지의 연가보상비는 (퇴직일 전일 현재의 월 봉급액의 86% × 1/30 × 연가보상일 수)에서 6월 30일을 기준으로 지급받은 연가보상비를 빼면 됩니다. 연가보상비의 일수는 재직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1개월~1년: 11일 (권장 연가일수: 5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6일) - 1년~2년: 12일 (권장 연가일수: 5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7일) - 2년~3년: 14일 (권장 연가일수: 6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8일) - 3년~4년: 15일 (권장 연가일수: 6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9일) - 4년~5년: 17일 (권장 연가일수: 7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10일) - 5년~6년: 20일 (권장 연가일수: 10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10일) - 6년 이상: 21일 (권장 연가일수: 10일, 최대 연가보상일 수: 11일)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연가보상비를 계산하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 자신의 급여명세서를 확인하여 급수별, 호봉별 봉급의 기본급을 알아냅니다. 2. 해당 기본급에 86%를 곱한 뒤 30일로 나누고, 이를 올해 확정된 연가보상일 수와 곱하여 연가보상비를 계산합니다. 연가보상비는 보수를 지급하는 기관에서 연차를 사용하지 못한 직원들에게 지급되는 보상비이다. 연가보상비는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1회 지급되며, 지급 시기는 각 기관장이 정한다. 일반적으로는 상반기에는 7월 중, 하반기에는 12월 중에 지급된다. 연가보상비는 최대 10년까지 적립이 가능하다. 연가를 사용하지 못한 직책이나 보상비가 적어서 한 번에 사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연가는 적립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2023년 공무원 연가보상비 계산 방법과 지급 시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가를 사용하지 못한 직책에서는 보상비를 받고 적립까지 되는 것에 대해 다행으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니 알림 설정과 서이추,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다.